렙틴1 렙틴과 렙틴 저항성 렙틴과 렙틴 저항성 체지방을 항상성 지표의 하나로 보고 구심 및 원심 신호 가 있을 것으로 아주 오래전부터 생각해왔는데, 1994년 미국 Rockefeller 대학의 Friedman 박사 그룹이 비만유전자를 처음으로 클로닝하고 그 단백 산물을 렙틴이라 명명하면서 그 구심 신호가 렙틴임을 규명하였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의 축적이나 인슐린과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호르몬 자극에 의하여 분비되며 혈-뇌 장벽을 통과한 후 시상하부의 궁상 핵에서 B형 비만유전자 수용체와 결합하고 JAK-STAT 3 pathway를 통하여 POMC 발현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만들어진 0-MSH가 PVN에서 MC3/4R에 작용하여 melanocortin system을 활성화하여 식욕을 감소시킬 뿐 아 나라 에너지 소비도 증가시.. 2023. 7.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