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구조
간은 복강에 위치하며, 횡격막과 접하고 있는 인체 최대의 장기이고, 가장 중요한 대사 장기의 하나로 흡수한 영양분을 대사하고, 저장하며, 여러 장기에 분배하는 다양하고 놀라운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간에 질환이 생기면 궁극적으로 전신의 여러 장기에 또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간에는 담즙을 분비하는 외분비샘 적 기능이 있으며, 담즙 은 담낭에서 농축된다. 간의 무게는 성인에서 약 1.5 kg이다.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내려오면 그 속에 포함된 지방 성분에 의해 CCK가 분비되어 담낭을 수축시키고,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분비되게 된다. 이런 간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간의 혈관구조, 담도계 그리고 간 실질의 구조로 나누어 설명한다.
(1) 간의 혈관구조
간이 장에서 흡수한 영양물을 신체가 요구하는 다른 물질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간에 있는 특별한 혈관구조의 도움을 받는다. 간의 순환구조는 다른 어떤 장기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 그 주된 차이점의 하나는 간에 공급되는 혈액의 대부분이 문정맥으로부터 유입되는 정맥혈이라는 점에 있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간은 문정맥과 간동맥에서 혈액이 전달되는데, 이 두 혈관의 가지가 동양 혈관에 연결되고, 이 동양 혈관 끝 부위는 소엽의 중심 부위가 되는 중심 정맥에 이어진다.
따라서 위, 장, 췌장 및 비장의 모든 혈액이 문정맥으로 모이므로,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물이 풍부한 혈액은 문장 맥을 통해 즉시 간세포로 전달되어, 간에서 최초로 접촉하게 되며 이곳에서 많은 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문정맥과 중심 정맥 사이에 간세포들이 직선형으로 나 열해 있어서 전체적으로 가 소업의 미세구조는 방사형을 나타내며, 혈장과 간세포 사이의 접촉 면적 장점이 있다. 동양 혈관은 확장성이 있는 혈관으로 내피세포와 Kipffer 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 피 세포의 세포 간격이 상당히 크고 단백질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혈장 성분이 쉽게 투과가 되므로 내피세포와 간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림프를 형성한다. 산소공급은 문정맥, 간동맥이 비슷한 정도로 공급하고 있다. 각 간소엽에 있는 중심 정맥은 간정맥을 통해 하대정맥으로 연결된다.
(2) 담도계
담도계는 담즙을 이동시키는 간에서 십이지장까지의 통 노를 말한다. 간세포의 첨단 면은 동양 혈관에 면하고 있고 기저면은 담즙 세관을 형성하고 있다. 담즙 세관은 실제로 관이 아니라 주위 간세포 사이의 확장된 공간을 말한다.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즙 세관을 통하여 담관으로 보내지며, 담관 내용물의 흐름은 반대 방향이지만 문정맥, 간동맥과 같이 주행하여 portal triad를 형성한다. 작은 담관 혹은 담즙 소관이 모여서 보다 더 큰 크기의 담관이 되고 최종적으로 총담관을 형 성하여 십이지장으로 개수된다. 총담관이 개수되는 주위에 Odd 괄약근이 있다.
담낭은 담도계의 또 하나의 중요한 얇은 주머니이다. 담낭 내벽은 1층의 상피세포로 덮여 있고 소장처럼 주름이 나이 잡혀 있는 것이 특징이며, 담낭관은 총담관과 연결되어 있다. 담즙이 소장으로 분비되지 않는 식사와 식사 사이의 시간 동안에 담즙은 담당 내로 이동하여 수분이 흡수되며 농축된 상태로 있다가 필요할 때까지 지정되는데, 최대 40~50mL의 담즙을 수용한다.
(3) 간 실질의 구조
간은 결합 조직인 막으로 덮여 있으며, 이 결 체 조직에 의해 간 실질이 소엽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눠진 게 된다. 간소엽은 간의 구조적 단위이며, 이 소엽은 중심부에 있는 중심 정맥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방사되는 간세 포의 육각형의 배열을 형성한다. 소엽의 꼭짓점에는 poreal triad가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2) 간의 기능
간의 기능을 설명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점이 있지만 다음의 3가지로 기원적인 기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림프의 형성과 탐식작용을 포함한 혈관 기능,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의 합성과 이용을 조절하는 대사기능, 담즙의 합성과 분비를 하는 준비 기능이다. 물론 세 번째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섭취한 지방의 소화와 흡수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매우 크다.
(1) 혈관 기능
간은 안정 시 심박출량의 약 30%를 수용하는 혈관으로 구성된 장기이며, 체순환에서 혈액을 저장하는 장소이기 도하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전체의 10~15% 혈액량이 간에 있으며, 그 혈액량 중의 60%는 동양 혈관에 있다. 만약 출혈로 혈액을 소실했을 경우에 간은 혈액을 역동적으로 방출하여 출혈에 대해 상당한 정도를 보상한다. 반대로, 수액을 빠르게 주입하는 경우처럼 혈액량이 갑자기 증가했을 때는 체순환에서 증가한 혈액량을 완충하기도 한다.
인체에서 형성되는 약 50%의 림프는 간에서 만들어진다. 동양 혈관의 내피세포에는 상당한 크기의 구멍이 있기 때문에 혈액 내의 체액과 단백질이 내피세포와 간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자유롭게 흘러 들어가서 림프를 형성한다. 림프는 이 Disse 공간으로 통했으며 흘러들어 portal triad와 연관된 작은 모세림프관에 모인 다음 전신 림프계로 연결된다. 따라서 만약에 동양 혈관의 압력이 정상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림프의 생성도 증가하게 될 것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간에서 림프를 너무 많이 생성하게 되어 복강에 축적되게 되는데 이를 복수라 한다.
간은 또한 탐식 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양 혈관에는 많은 수의 Kipffer 세포라고 알려진 조직 대식세포가 잠복하고 있다. Kipffer 세포는 순환계의 이물질과 미생물 등을 제거하고 활동적으로 탐식할 동을 한다. Kipffer 세포는 문정맥의 하류 방향에 있으므로, 장의 상피세포를 뚫고 문정맥으로 유입하려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때문에 이 세균들이 체순환 계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체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생리 (0) | 2023.07.16 |
---|---|
혈관기능 (0) | 2023.07.14 |
비타민의 흡수 (0) | 2023.07.13 |
지방의 소화 및 흡수 (0) | 2023.07.13 |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