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체생리학

소장운동

by 주오천이 2023. 7. 8.

소장운동
소장운동은 다음의 4가지 목적을 두고 이루어진다. 소장 내용물을 소화효소와 그 외의 분비물과 혼합하고, 더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부수며, 최적의 소화 및 흡수를 위해 소장 벽에 위치한 세포로 내용물을 운반한 후, 최종적으로 대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1) 소장운동의 종류
소장의 운동은 기본적으로 분절운동과 연동운동에 이해해
적절하게 수행된다. 소장이 음식물에 의해서 확장되면 1~5cm 간격으로 율동적인 수출환이 생기고, 약 5초간 지속한 후 이완하면 다시 새로운 부위에 같은 형태의 수축한 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장의 운동을 분절운동이라 한다. 이 분절운동의 결과로서 소장 내의 음식물은 잘게 분리되고 소화액과 잘 혼합될 뿐만 아니라 소장 벽의 흡수 면과 접촉을 새롭게 하지만 내용물의 이동은 없다.
소장의 분절운동의 빈도는 서퍼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위장에서와는 달리 소장은 부위에 따라서 소파의 빈도가 다르다. 십이지장 분절운동의 빈도는 매분 12회 정도이며,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하여 회장의 끝부분에서는 매분 9회 정도이다. 소장의 수축 빈도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많으므로 장내의 쌀뜨물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한 가지 원인이 된다. 분절운동은 소장이 확장될 경우에 더욱 강화되며, 강한 분절운동은 소장 내 음식물의 연동운동을 방해하기도 한다.
소장에서 발생하는 연동 운동은 분절운동에 비해 그 빈도 다 낮게 발생하며, 일련의 수축차에 의해 쌀뜨물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연 동파를 연동 반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소장을 통과하는 쌀뜨물 덩어리에 의해서 그 부 위가 팽창하고, 팽창된 소장은 잠근 신경층에 의해 반사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사 작용의 고 쌀뜨물 덩어리 바로 하방에 위치하는 환상근의 이완과 동시에 종주근의 수축이 일어나므로 소장 내강의 직경이 증가하고 쌀뜨물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쌀뜨물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또 하나의 기전은 쌀뜨물 덩어리의 상방에 위치하는 환상근의 수축과 종주근의 이완으로 압력이 상승하므로 쌀뜨물 덩어리는 이완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분절운동과 연동운동 이외에도 점막층의 근육인 점막 내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서 소장 벽의 융모 길이가 길어지고 짧아지는 운동을 하는데, 이것은 소 장벽과 음식물의 접촉면을 새롭게 해줌으로써 소장의 흡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 기여한다.
공복 상태의 위장관에서는 식간에 1.5~2시간마다 위와 십이지장 근위부에서 시작하여 말단 회장까지 연속되어 진행하는 일련의 활성 연동 파가 6~10분 동안 지속되는 것이 관찰되는데, 이러한 수축차들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성 의장관 복합운동이라고 부른다.
MMC는 항문 방향으로 6~12 cm/분의 속도로 내려가며, 공복이기에 위와 소장에 남아 있는 음식물이나 탈락한 상피세포 등을 제거하여 적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MC 파가 회장 말단에 도달할 때쯤에는 위에서 다시 새로운 연동 파가 시작된다. 실제 공복 시 소화기관 사이에 근수축의 소파는 초기 약 50분간의 활동이 없는 시기인 제1기와 10~50%의 서퍼에서 수축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제2기(약 25분) 그리고 이어서 오는 강력한 수축기인 제3기(약 15분)는 90~100%의 활동도를 나타내는 시기이다. 마지막 수축은 아주 강하게 일어나서, 공복 시 소장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대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MMC를 소장의 housekeeper라고 부른다. 하지만 식사하는 동안에는 MMC가 발생하지 않으며, 소장의 수축성은 항진되어 분절운동과 연동운동이 더 명확하게 발생한다.
위장관 펩타이드 조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MMC는 소장에서 주기적으로 분비된 motilin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며, 그 혈중 농도가 제3기에 높아진다. 하지만 위 내에 음식물이 있거나 섭식을 하게 되면 MMC를 먹게 한다.
Motilin이 주기적 분비되는 정확한 기전에 대한 규명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소장의 운동도 신경성 조절과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부교감신경은 수축을 증가시키며, 교감신경은 억제한다. VIP와 nitric oxide, secretin 및 glucagon 등은 수축을 억제하는 반면, gastrin, CCK, SRO-ton in과 insulin 등의 호르몬은 운동성을 촉진한다.
여러 종류의 반사들이 소장의 길이를 따라 수축 활동을 조절한다. 대체로 이들 반사는 소장을 따라 음식물이 이동하는 것을 도와주며, 위 배출에 의해 소장으로 유임되는 음 식물의 양을 결정하고,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는 양이 많을수록 대장으로 내용물을 더 많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반사들의 특징은 대표적인 반사로는 연동 반사, 소방서장 반사, 위원회장 혹은 위 소장 반사, 소장위반사 및 십이지장 대장 반사가 있다.
위에서 소화가 진행되는 동안에 위 후반부의 수축 강도는 증가한다. 이 수축의 증가는 위 내용물을 소화효소 및 위산과 혼합하고, 음식물을 작은 입자로 부수는 역할을 하여 소화와 흡수에 적절한 상태로 만들어 소장으로 넘기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위와 소장에서 음식물의 각기 다른 성질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있고, 이들의 적절한 조화는 소화와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위의 연동운동 파와 위 내용물들의 이동. 위 근육의 수축으로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 쪽으로 이동한다. 강한 수축 결과 위 내용물의 일부는 하방으로 역류한다. 유문동의 강한 수축 결과 내용물이 위 체부로 역류한다. 수축 전, 후 위 내용물의 이동은 없다.

'인체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 배출  (0) 2023.07.09
구강 및 식도운동  (0) 2023.07.08
위장관벽의 내재신경  (0) 2023.07.08
소화생리  (0) 2023.07.08
렙틴과 렙틴 저항성  (0) 2023.07.07